계몽의 누적

계몽의 누적

vocatus atque non vocatus aderit /// 학습 목적으로 제한적으로 유효함
  • 방명록

search'전체 글' 76건

  • ・2020.10.19|[개입이론] 사안에 대한 해결중심 개념화 과정
  • ・2020.10.18|[소년보호] 통계로 비판한 엄벌론 (홍성삼, 2020)
  • ・2020.10.18|[소년보호] 소년 엄벌론 비판 : 연령인하론의 허점 (이은영, 2016)
  • ・2020.10.18|[소년보호] 소년비행예방 기본계획 2019-2023 및 소년엄벌론에 대한 비판 (김성은, 2019)
  • ・2020.10.18|[소년보호] 일본 소년법의 엄벌화 시도는 성공했는가? (강경래, 2018)
  • ・2020.10.18|[소년보호] 소년의 목소리에 귀기울이는 태도가 쇠퇴함을 성찰함 (佐々木光明, 2010)
  • ・2020.10.14|[개입이론] 사회복지행위 패러다임으로서 사례관리를 제시한 경우 (권진숙&박지영, 2015)
  • ・2020.10.10|[개입이론] 교도소에서의 해결중심치료 (Lindforss & Magnusson, 1997)
  • ・2020.10.04|[소년보호] 소년강력범죄에 대한 외국의 대응동향 및 정책 시사점 국책연구 (이승현&박성훈 외 2017)
  • ・2020.10.04|[소년보호] 소년사법운영에 관한 유엔최저기준규칙 (박병식 역)
  • ・2020.10.04|[개입이론] 사회복지 프로그램 개발과 평가 (이봉주 김기덕 신원우, 2019)
  • ・2020.10.04|[소년보호] 문제행동청소년의 가족관계 경험 (김상봉, 2014)
  • ・2020.09.28|[소년보호] 소년 국선보조인제도의 운영현황과 개선방안에 대한 국책연구 (황지태 외, 2016)
  • ・2020.09.27|[묘법연화경] 02. 방편품 정리
  • ・2020.09.26|[묘법연화경] 01. 서품 정리
  • ・2020.09.23|[개입이론] 강점관점 해결중심 사례관리 (노혜련&김윤주, 2020)
  • ・2020.09.22|[소년보호] 해결중심단기치료에 기반한 위기청소년/가족체계 상담의 구체적 전략 (Selekman, 2008)
  • ・2020.09.20|[여성] 정희진, <저는 오늘 꽃을 받았어요>, 2001
  • ・2020.09.20|[소년보호] 소년보호절차 보조인의 성격
  • ・2020.09.19|[소년보호] 천종호, <호통판사 천종호의 변명>, 2018.
  • ・2020.09.19|[소년보호] 천종호, <아니야 우리가 미안하다>, 2013
  • ・2020.09.19|[소년보호] 심재광, <소년을 위한 재판>, 2019.
  • ・2020.09.18|[소년보호] 범죄소년들과 해결중심적으로 일하기 (Corcoran, 1997)
  • ・2020.09.15|[소년보호] 천종호, <이 아이들에게도 아버지가 필요합니다>, 2015.
  • ・2020.09.14|[개입이론] 아동청소년 대상의 SFBT
  • ・2020.09.12|[소년보호] <소년법> 2007년 개정의 함의에 기초한 소년법의 목적과 원칙 (한영선 외, 2020)
  • ・2020.09.12|[소년보호] 법원 소년부의 성격과 검사선의주의 옹호 논변 (한영선 외, 2020)
  • ・2020.09.12|[스크랩] 현지현 <소년원에 우리의 미래가 있다>
  • ・2020.09.09|[개입이론] 해결중심단기치료와 형사범죄 : 회복적 정의에서 가족컨퍼런스 방법 (Lehman et al : 2012)
  • ・2020.09.08|[소년보호] 소년사법에서 가족의 참여 (OJJDP, 2018)
◀ PREV 1 2 3 NEXT ▶
Purity skin is designed by Ludens
계몽의 누적's Blog is powered by

티스토리툴바